전문의 2인 진료, 평일 저녁9시까지 야간진료 합니다.
콜레스테롤 수치 높은데...고기 먹어도 될까
이상지질혈증(고지혈증)은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 같은 지질 성분이 필요 이상으로 혈액에 존재하는 상태다. 이런 지방이 혈관벽에 쌓이면 염증이 생기고 결국 각종 심혈관질환까지 일으킬 수 있다.이상지질혈증 환자가 뇌졸중, 심근경색 같은 질환을 예방하려면 식단을 바꾸는 것이 일 순위다. 특히, 섭취하는 지방의 양을 제한해야 한다. 그러나 고기를 좋아하는 사람에게 동물성 기름의 맛은 참기 힘든 유혹이다.다행히도 육식을 완전히 끊고 채소와 밥만 먹으라는 소리는 아니다. 오히려 채식 위주의 식단을 실천하면, 더 안 좋은 결과가 나타날 수 있다. 하이닥 영양상담 강은희 임상영양사는 "영양학적으로 불균형한 식사를 오래 하면 고지혈증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채소 위주의 편식을 영양적으로 표현하면 '고탄수화물 저열량 식사'다. 이런 식사는 장기의 활성도를 낮게 하고, 체내 다양한 문제를 발생하게 하는데, 고지혈증은 그중 한 가지 문제"라고 덧붙였다.채소와 곡식 위주로 식사하면 상대적으로 당질 즉, 탄수화물 섭취량이 늘어난다. 당질 섭취가 과해지면 중성지방 수치는 올라가고, 몸에 좋은 콜레스테롤인 HDL 콜레스테롤 수치는 감소할 수 있다. 하이닥 가정의학과 상담의사 이상욱 원장(인천참사랑병원)도 "우리가 흔히 먹는 국이나 밥, 반찬 등의 약 60~70%가 탄수화물이라고 알려졌다"며 "단백질과 지방질의 과다 섭취로 인한 서양인의 고지혈증과 달리, 한국인의 고지혈증은 탄수화물 섭취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고 말했다.이상지질혈증 환자라고 해서 고기를 금하면 안 된다. 단, 양질의 단백질을 적절히 섭취해야 한다. 기름기가 많은 삼겹살, 곱창 같은 내장류 그리고 햄, 소시지, 베이컨 같은 가공된 육류는 가능한 한 먹지 않는다. 소고기와 돼지고기는 섭취 횟수를 줄인다. 단, 소나 돼지를 먹어야 할 때는 눈에 보이는 기름과 지방은 제거한 후 살코기 위주로 먹는다. 기름기가 많은 고기 대신 껍질을 제거한 닭고기, 등 푸른 생선, 콩, 두부로 단백질을 보충하면 좋다. 도움말 = 하이닥 영양상담 강은희 (임상영양사), 하이닥 상담의사 이상욱 원장 (인천참사랑병원 가정의학과 전문의)